K-fold 개념과 Stratified cross validation 적용해보기

|

K-fold

개념

데이터를 k개의 분할(k개의 fold, 일반적으로 k=4 or 5)로 나누고 k개의 모델을 만들어 k-1개의 분할에서 훈련하고 나머지 분할에서 평가하는 방법이다. 모델의 검증 점수(score)는 k개의 검증 점수의 평균이 된다.

views


k개의 검증 점수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

  1. 모든 폴드에 대해 epoch의 평균 절대 오차인 MAE(Mean Absolute Error)의 오차 평균을 구하면 된다.
  2. Validation MAE(y축), Epochs(x축)을 갖는 그래프를 그려보고 그래프의 흐름을 보면, 어디서 과대 적합이 일어났는지 체크할 수 있다.


views

딥러닝에서 k fold를 쓰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 데이터 검증 세트의 분할에 따른 검증 결과를 보고 어떤 데이터 세트가 과대적합 일으켰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 따라서 과대적합(overfitting)을 막는다는 의의가 있다.
  • 공부한 책에서는 예시로 100epoch별 검증 점수를 보고 어떻게 epoch을 구성해야할지 알 수 있었다.
  • 이런 방식으로 kfold를 쓰면 어느 지점에서 학습이 덜되는지 더 되는지 알수 있으니까 파라미터 값을 조절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여기서 잠깐!

k fold를 쓰면 validation set 도 트레이닝하게 되어서 정확한 acc?같은걸 체크하기가 애매해지지 않을까?

  • 그래서 validation set은 따로 나눠놓고 train set에서만 쓴다. 즉, Train set안에서 kfold를 진행하는 방식인 것이다.


Stratified cross validation

개념

데이터가 편항되어 있을 경우(몰려있을 경우) 단순 k-겹 교차검증을 사용하면 성능 평가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럴 땐 stratified k-fold cross-validation을 사용한다

StratifiedKFold 함수는 매개변수로 n_splits, shuffle, random_state를 가진다. n_splits은 몇 개로 분할할지를 정하는 매개변수이고, shuffle의 기본값 False 대신 True를 넣으면 Fold를 나누기 전에 무작위로 섞는다. 그 후, cross_val_score함수의 cv 매개변수에 넣으면 된다.


★ 참고!

일반적으로 회귀에는 기본 k-겹 교차검증을 사용하고, 분류에는 StratifiedKFold를 사용한다.

또한, cross_val_score 함수에는 KFold의 매개변수를 제어할 수가 없으므로, 따로 KFold 객체를 만들고 매개변수를 조정한 다음에 cross_val_score의 cv 매개변수에 넣어야 한다.

views


코드로 적용해보기

views
Stratified cross validation


  • 시도1. 경로를 pathlib으로 받아서 list에 넣고, split시도 -> 실패
views
views


  • 시도2. str.split 시도 -> 실패
views


  • 시도3. 경로를 string으로 받아서 split시도 -> glob모듈에서 오류가 남 -> 실패
views
views


  • 시도4. 다시 경로를 pathlib으로 받고 split하는 전체 덩어리에 str()로 형변환 -> 성공!
views


시행착오 후, 고찰

  • pathlib으로 받은 경로는 객체로 저장된다.
  • split은 문자열을 나누는 함수이기 때문에 당연히 string 형태로 받아야 한다.
  • glob에 string 타입의 디렉토리를 넣어도 된다고 하는데 왜 안됐던 거지?


다음으로 해야할 것

  • 경로를 설정 후 데이터를 cross validation했으니, 그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할까?
  • 모델학습 fit 시키고 검증 점수(에포크별 검증 MAE)를 로그에 저장하게끔 하면 되는 걸까?
  • 공부한 내용으로는 k-fold하고 검증 mae(평균 절대 오차: 예측값과 기존의 값인 타겟값 사이의 절대값)를 뽑던데, 이와 같이 진행되는건지 아니면 달리 진행하는 건지 궁금하다.